본문 바로가기
- 세금재테크/연말정산

2025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3가지: 홈택스, 네이버, 토스

by HAPPY SURF 2025. 1. 9.

2025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3가지: 홈택스, 네이버, 토스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1월 15일부터 간소화 서비스가 시작되면 본격적으로 시끌시끌할 텐데요.

 

일부 좋은 회사에서는 자체 ERP와 같은 시스템으로 환급금 조회가 가능하지만, 대부분 인터넷에서 그 방법을 찾고 계실 겁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가장 신뢰할 만한 곳이 홈택스, 네이버, 토스입니다. 카카오는 뭔가 약해서 탈락입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어떻게 조회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연말정산 세금 환급에 도움이 되는 글

 

[목차여기]

 

 

홈택스 환급금 조회

장점 - 최신 개정된 세법 반영(세금 계산에 필요한 공제 내용)
- 계산 정확성 
- 공제 항목 구분 명확
- 연중 언제나 조회 가능
단점 - 공제 항목의 금액을 하나씩 찾아서 입력해야 함

 

💡 홈택스 연말정산 모의계산 바로가기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환급금 조회 방법입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의 양식과 비슷해서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서 보기가 너무 편했습니다.

 

각 항목에 대한 금액을 찾고 입력하는 과정이 번거롭지만 이에 대한 자세히 정리된 내용이 있어 따라 했더니 편하게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 '각 내용 입력방법'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1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2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3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4

 

 

위 사진에서 보면 연봉, 소득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내용을 입력하는 칸이 있습니다.

 

연봉과 소득세는 본인의 급여명세서나 원천징수영수증을 확인하면 됩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연말정산 미리 보기와 간소화 서비스가 오픈되는 시기에는 쉽게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 이외에는 하나씩 찾아봐야 합니다.

 

✅ 각 내용 입력방법

홈택스 모의계산 사이트 들어가면 각 항목을 입력해야 합니다. 언제 저걸 다 입력하나 싶고, 뭐가 뭔지 모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연말정산 미리보기와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 연봉 입력: 급여명세서 확인
  •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입력: 홈택스 서비스 이용
  • 연말정산 미리 보기: 매년 10월에 오픈, 9월까지 지출한 내용을 확인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매년 1월 15일에 오픈, 1년 총 지출한 내용을 확인
  •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입력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 홈택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자세히 보기

 

아래 사진처럼 각 항목을 입력하면 차감징수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감징수세액이 작을수록 납부할 세금이 낮아지고, 마이너스 금액이 되면 세금을 환급받습니다.

 

저는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오픈전에도 홈택스 모의계산을 통해 환급금을 미리 확인합니다. 확인 후 부족한 공제액을 채우기 위한 계획을 세워 매년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환급받고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5홈택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6
각 항목을 입력하면 세금 환급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환급금 조회

장점 - 신용카드, 연금계좌, 보험 정보 자동 입력
- 편리함
단점 - 일부 공제항목만 반영되어 정확한 환급금 조회 불가
- 최신 세법이 반영되지 못함(세금 계산에 필요한 법)
- 10월 말부터 이용 가능

 

💡 네이버 환급금 조회 바로가기

 

처음엔 네이버에서 환급금 조회하는 광고를 하길래 심심해서 해봤더니 연말정산 모의계산이 간편해서 놀랐습니다. 너무 편리하더라고요.

 

그런데, 실제 연말정산 결과와 너무 달랐습니다. 알고 보니 일부 공제항목만 적용되고 최신 세법이 반영되지 않아서 실제 결과와 차이가 있더군요.

 

가볍게 대략적인 연말정산 환급금을 조회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추천합니다.

네이버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1네이버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2네이버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3

 

 

네이버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는 입력할 게 별로 없습니다. 연봉만 입력하면 되고, 나머지는 '자산 추가하기'를 눌러서 카드, 증권, 보험사 정보를 연결하면 자동 입력됩니다.

 

 

토스 환급금 조회

장점 - 공제 항목 자동 입력
- 과거 연도 환급 내역과 소비 패턴 확인
단점 - 일부 공제 항목은 반영되지 않음
- 9월까지 지출한 내용만 반영되어 계산
- 12월부터 조회 가능

 

💡 토스앱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 검색하면 사용 가능

 

개인적으로 홈택스 다음으로 토스가 정확한 것 같습니다. 12월부터 조회가능하다는 점과 9월까지 지출한 내용을 반영해서 환급금을 계산하는 점이 아쉽습니다.

 

또한 일부 공제 항목이 빠져서 홈택스에서 계산한 결과와는 너무 다르더라고요.

 

저는 연중에 가끔씩 환급금을 조회해서 부족한 공제액을 채우는 것에 활용하고 있는데요, 토스는 이런 방식으로 활용할 수 없어서 아쉽더라고요.

토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1토스에서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기2

 

 

토스도 네이버처럼 일부 공제항목이 빠져있어서 가볍게 확인하는 용도로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생각하기에는 홈택스 환급금 조회가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공제 항목을 하나씩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지만, 연중에도 조회가 가능해서 부족한 공제액을 채우는 계획을 세워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볍게 연말정산 환급금을 확인하고 싶은 분들은 네이버와 토스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