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보험들은 다들 가지고 계시죠? 실비, 상해, 암, 연금, 저축보험 등 다양한 보험에 가입해 있을 겁니다. 정부에서는 연말정산 시 일정 조건에 맞으면 개인보험의 납부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요.
다만, 모든 보험의 종류와 납부액에 대해서 공제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특별한 조건도 있고요.
보험료 공제는 잘 알아보고 연말정산을 대비해야지, 안 그러면 세금 환급을 기대한 마음에 상처입을 수가 있습니다.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꿀 정보를 알려드릴 테니 아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연말정산에 도움이 되는 글
[목차여기]
1. 공제 조건: 보장성 보험만 가능!
구분 | 내용 |
공제 조건 | 본인이 납입한 보험료 |
공제 대상 | 본인 및 인적공제 대상자의 보장성 보험 |
공제율 | 12% / 15%(장애인 보험) |
공제한도 | 총 100만원 한도 |
(1) 공제 조건 및 대상
보험료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조건이 있습니다. 근로자 본인이나 근로자의 인적공제 대상자가 보장성 보험의 피보험자로 등록되어야 하고, 근로자가 피보험자의 보험료를 납입해야 합니다.
- 본인과 인적공제 대상자는 피보험자로 등록
- 연말정산 공제받을 사람이 본인 것과 인적공제 등록 부양가족의 보험료를 납입
(2) 공제율 및 한도
보험료 공제의 기본 공제율은 12%이고, 장애인 보험의 경우에는 15%입니다. 공제 한도는 두 보험 모두 연간 100만 원입니다. 1년 동안 납입한 보험료 총합의 100만 원까지만 공제해 준다는 말입니다.
그럼, 공제율을 적용한 최대 공제액은 보장성 보험은 "100만 원 × 0.12 = 12만 원"이고 장애인 보험은 "100만 원 × 0.15 = 15만 원"입니다.
(3) 중간에 가입한 보험, 퇴사, 이직한 경우는?
내가 회사를 다니고 있으면서, 새로 가입한 보험의 보험료는 납부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공제 적용 기간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계속 회사에 다니고 있고 5월에 보험을 가입해서 매달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다면, 5월부터 납부한 금액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24년 6월에 퇴사하거나 이직했고 보험은 지속적으로 납부하고 있었다면, 퇴사 전까지 납부한 보험료와 이직하고 나서 납부한 보험료가 공제 대상입니다.
만약, 2023년에 보험에 가입하면서 한꺼번에 보험료를 납부하고 계약은 2024년까지 지속된 경우에는 올해 연말정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보험료 납부 시점에 해당하는 연도가 연말정산 대상입니다.)
(4) 실손보험인데, 보험금 청구한 경우 공제는?
보험금을 청구받은 금액은 이번 연도 지출한 의료비 총액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의료비를 지출한 부분에 대해서 일정 부분 돌려받은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차감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그냥 넘어갔습니다. 정부에서 그냥 보험금 청구받은 금액은 차감하라는 안내만 했지만, 이제는 법으로 정해져서 꼭 지켜야 합니다.
안 하면 가산세 부과되어 세금 폭탄 맞습니다!

2. 보장성 보험이란? 그 종류는?
보험 계약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받아, 의료비를 커버하는 보험입니다. 대표적인 보장성 보험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실손의료비 보험
- 상해 보험
- 암 보험
- 질병 보험
- 치아 보험
- 화재 보험
- 자동차 보험
국세청에서는 보장성 보험을 만기 환급금이 내가 납부한 보험료를 넘지 않는 보험이라고 말합니다. 반대로 저축성 보험은 투자나 목돈 마련을 위해 가입한 상품으로 만기 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입니다.
저축성 보험은 연금, 변액저축보험 같은 종류입니다.
대부분의 회사원들은 보장성 보험 하나 이상은 가지고 있을 겁니다. 실손, 상해, 암 등 많이 접해본 보험의 종류입니다.
자동차 타고 출퇴근하는 분들은 매년 몇 십만 원에서 백만 원 초반의 자동차 보험료를 납부할 텐데요. 이런 분들은 공제 한도금액인 100만 원을 다 채울 수 있을 겁니다.
보험료 공제는 연말정산에서 공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작은 공제금액이 하나씩 쌓이다 보면 세금 환급을 받을 확률이 높아지죠.
공제 항목에 대한 공부 열심히 해서 많은 분들이 13월의 월급을 받았으면 합니다.
'- 세금재테크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세금 환급? 결정세액과 기납부세액 뜻을 알면 끝! (1) | 2024.12.26 |
---|---|
연금저축과 IRP 차이를 알면 세액공제로 최대 148만 원 세금 환급! (4) | 2024.12.25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연말정산: 보험료는 공제, 수령액은 세금 납부! (2) | 2024.12.23 |
연말정산 퇴사자, 신입사원이 공제 받는 항목과 상관없이 공제 가능한 항목 (3) | 2024.12.22 |
2025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나이 기준? 자녀장려금 중복 가능? (1) | 2024.12.21 |